코스피 상장기업 진원생명과학이 국책과제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되었다는 발표가 있었습니다. 바로 보건복지부가 추진하는 '메신저 리보핵산(mRNA) 기반 신속 백신 제작 플랫폼을 활용한 지카바이러스 백신 선도물질 발굴 및 유효성 평가" 과제를 맡게 되었습니다.

 

이 발표가 있던 다음날, 진원생명과학 주가는 상한가를 기록하며 장을 마감했습니다. 그만큼의 가치가 있다는 건데요. 해당 과제는 어떤 내용인지, 국책과제를 맡게된 진원생명과학은 어떤 기업인지 알아보겠습니다.

 

 

국책과제 개요

 

● 과제명 : 지카바이러스 백신 선도물질 발굴 및 유효성 평가

● 주관기관 : 진원생명과학

● 세부기관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방은경 박사 연구팀

● 공동연구기관 : 카톨릭대 남재환 교수 연구팀

● 연구비 지원 : 7억 9,200만원 (19개월)

● 주간기관 및 연구진 보유기술

구분 보유기술
진원생명과학 항원 발현 효율성과 안정성이 개선된 mRNA 제작 플랫폼 기술과 mRNA 백신 원액 생산 cGMP 공정(자회사 VGXI社)
방은경 박사 연구팀 자체 개발 지질나노입자(LNP) 조성 후보물질과 제형과 공정
남재환 교수 연구팀 mRNA 백신을 이용한 비임상 독성 및 유효성 평가 연구 경험

※ cGMP란? :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진원생명과학은 이번 연구를 통해 2가지 성과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그 하나는 임상 연구용 mRNA 백신을 생산할 수 있는 LNP 제형 공정 규모를 확대하는 것과  두번째는 mRNA 백신 원액 생산 공정의 생산 효율성과 안정성 확보 입니다.

 

 

진원생명과학 주가

mRNA 제작 플랫폼 기술과 백신 원액 생산 cGMP공정을 보유한 진원생명과학에게 맡기 이번 국책과제의 성공적인 성과를 기대하는 투자자들이 많은 듯 합니다. 지난 6월 18일 진원생명과학 주가는 지루한 하락세를 깨고 상한가를 기록하며 29,950원으로 마감하였습니다. 

 

일일 주가 차트
최근-주가차트

 

이번 국책과제 수행에 대한 기대는 국내 투자자보다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더욱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당일 외국인은 무려 468억원 어치의 주식을 순매수 했네요, 주식 거래량이 3,755만주로 평소 1~2백만주 거래되던 종목이었는데 주가 상승과 거래량 상승이 동반된 좋은 포지션입니다.

 

 

진원생명과학 주가를 상승시키는 가치는 현재 영위하고 있는 의류용 심지제조나, 국책과제 주관기관으로 선정된 네임밸류가 아닙니다. 2년이 다되어가는 코로나 팬데믹을 겪으면서 앞으로는 바이러스, 특히 변환 주기가 더욱 빨라지는 변종 바이러스의 공격에 대비할 백신 기술이 필수 라는 것을 배웠습니다.

 

코로나 발생 이후 3개월이라는 짧은 시간에 백신 임상실험을 시작한 모더나의 기술이 바로 메신저 리보핵산(mRAN) 방식 입니다. 즉, 코로나 종식 이후에도 mRNA 치료제 시장은 지금보다 몇배나 더 성장하게 될지 가늠하기도 어렵습니다.

 

mRNA 제작 플랫폼 기술과 백신 원액 생산 cGMP공정을 보유한 진원생명과학 주가가 상한가를 기록한 이유는 여기에 있는 것이죠

 

 

 

진원생명과학 기업 개요

해당 기업은 시가총액 1조3,534억의 코스피 191위 기업입니다. 1976년에 설립 되었지만, 의약 및 제약 사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지 않았습니다. 이 기업은 의류용 심지 제조를 목적으로 설립되었고, 30년간 국내 섬유업계에 심지를 공급하였습니다.

 

2005년 미국 바이오 기업이 인수하면서, 생명공학을 이용한 의약품 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다각화를 추진하면서 CMO 제조와 의류용 심지 분야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지난 1분기 실적은 매출액 81.8억원, 매출총이익 5.2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성장하였지만, 판매관리비가 64억으로 전년대비 85%가 늘어 영업손실이 58.8억으로 증가하였습니다. 

 

21년-1분기-손익계산서
1분기 손익계산서

 

지난 10년간 해당기업은 순이익이 적자였습니다. 단 한번도 흑자였던 해가 없습니다. 제약 및 의료기술 개발 사업은 개발한 신약과 보유한 기술로 평가 받는게 일반적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적자 경영에도 꾸준한 연구와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내고 있는 진원생명과학에 투자자들이 모여드는가 봅니다.

 

이번 국책과제 주관기관으로 선정된 것에 축하의 멧세지를 전하며, 진원생명과학이 mRNA 백신 생산에 글로벌 허브 역할을 할 날을 기대해 보겠습니다. 워렌 존버핏 이었습니다.

 

필자-썸네일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